
혼자
대구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작품소개
19세기 러시아 농민의 역사를 모티브로 쓰여진 “홀스토메르”는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보편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으로, 한 늙은 명마가 자신의 삶을 회상하며 이야기하는 구조로 인류 보편의 문제에 대해 동화적으로 표현한 감동적이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풀어 낸 작품이다.
넘버
1. 오, 신이여! - <바시카의 노래 - 알렉산드르 체르냐프스키, 데니스 사라이킨>
2. 말 무리의 합창 - <전체 등장인물들의 합창>
3. 말 떼의 노래 - <말 목장 안 말들의 코러스>
4. 홀스토메르와 뱌조푸리하의 듀엣 - <남: 블라디미르 유마토프, 이고리 스타로셀체프/ 여: 나탈리야 코레츠카야, 빅토리야 소콜로바>
5. 나의 말이여! - <밀르이의 아리아 - 뱌체슬라프 구기예프, 막심 자우살린>
6. 말 떼의 노래2 - <말 목장 안 말들의 코러스>
7. 너를 두려워 하기를 원하는가! - <세르푸호프스키의 노래 - 데니스 유첸코프>
8. 대장간에서 - <세르푸호프스키, 페오판, 홀스토메르의 노래 - 데니스 유첸코프, 유리 골루브초프, 블라디미르 유마토프>
9. 세르푸호프스키 공작의 로망스 - <데니스 유첸코프>
|
시작전 무대사진


공연시작과 동시에 배우들이 나온다. 원래 그런건지 암전이 되지 않아 배우들 나와서 들어 눕는게 다 보인다.
그리고 주인공이 말꼬리를 툭툭 던지는데 '이사람 기분 안좋은 일이 있었나?' 싶게 던진다.
극 초반에 한 배우가 말꼬리를 무대 아래로 떨어트렸는데, 좀 있다가 너무 자연스럽게 주워서 무대로 올라간다.
이러니 실수인지 원래 그런건지 알수가 없다.
무대 만들고 사전에 연습을 안했는지 의자를 이상하게 놓고, 동선도 편한대로 하는 부분이 보인다.
주인공의 머리띠가 내려오니 다른배우가 중요한 장면에서 그 머리띠를 몸까지 돌려서 올려준다.
에드리브인지 모르겠지만 한 여배우가 주인공의 목을 혀로 핥으니 관객석에서 괴성이 들린다.
옷도 말꼬리도 먼지가 정말 많다. 무대 한쪽에 갖다 놓은 물로 땀 흘린 배우는 세수 한번씩 하는 것 같다.
현재의 홀스토메르가 막 태어났을 때부터 최근까지를 회상하는데, 앞부분은 젊은 배우가 할 줄 알았는데, 그냥 나이든 배우가 한다. 음~~ 귀엽긴 하더라 ^^;
그 외 배우들이 말 우는 소리를 내는데 비슷하다. 몸동작은 전혀 아니지만 말꼬리를 몸에 툭툭치기만 하니 말이란 생각이 안든다.
홀스토메르 인생의 절정은 전체 인생에서 한 점 같다. 태어나서부터 얼룩말이라고 주인에게 무시당하고 좋아했던 암말로 인데 거세당하고, 그나마 좋은 주인한테 가선 얼마 못있고, 다시 쭉~~~ 혹사 당하다 마지막엔 쓸모 없는 말이 되어 죽임을 당한다.
참 박복한 인생이다. 톨스토이 작품을 뮤지컬로 만든거라는데 러닝타임은 길고, 재미는 없고, 자막 보랴 무대 보랴 목과 눈은 아프지,,,, 오리지널 팀은 첨인데, 처음을 이렇게 실망으로 채우다니~~ 짜증
이벤트석이라 참고 봤지 돈 다 주고 봤으면 화날뻔했다.
커튼콜 사진


커튼콜 시작한 줄 알고 찍었더니 덜 끝났다.
캐스트(홀스토메르 역이 두명인데, 누군지 모르겠고 내용이 길어서 맨 뒤로 뺐다.)
러시아 연방 공훈 예술가 이고리 스타로셀초프 (홀스토메르)
1976년 모스크바 예술극장 스튜디오 졸업.
1976년부터 1987년까지 리가 드라마 극장에서 활동.
1987년부터 «우 니키트스키흐 보로트»극장에서 활동.
1989년 작품 «가련한 리자» 에 참여하여 에딘버러 국제 연극 페스티벌에서 «FRINGE FIRSTS»를 차지.
주요작품: 음악극<우리 정원의 노래>, <벚나무 밭>(가예프 역), <수전노>(가르파곤 역), <크로커다일>(티모페이 역), 뮤지컬<비바 파르퓸>(바흐메테프 백작 역), «두 명의 체호프»(쉬푸틴 역), «산송장» 등.
출연 영화: «중개인», «작전명: 예언자», «세민2», «타인의 날개», «옐친. 8월의 3일», «행복의 그룹», «언제나 “언제나”라고 말해 7», «게임에서2», «가족» 등.
러시아 연방 공훈 예술가 블라디미르 유마토프 (홀스토메르)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철학과 졸업. 철학 박사.
1984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백만장자 역), <우리동네의 노래>, <의사 체호프>, <바냐 외삼촌>(세레브랴코프 역), <두 명의 체호프>, , <이반 이바노비치와 이반 니키포로비치>는 어떻게 다퉜나> 등.
출연 영화: «4마리의 늑대», «폴리스», «전쟁을 선포한다», «카멘스카야 6», «무엇이 사랑을 가릴 수 있을까», «도주 1-2» 외 50여 편.
나탈리야 코레츠카야 (뱌조푸리하, 마티에, 마리)
러시아 첼랴빈스크 국립 음악원 졸업. (포르테 피아노 전공)
2001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뮤지컬 <맘마 미야!>, <사랑과 배반>, <알렉스 쇼> (국제 뮤지컬 페스티벌 그랑프리 수상) 등.
참가 작품: «카바레, 혹은 봅 포스가 모스크바에 산다» (오드리 역), «마인 캄프. 파르스», «코뿔소» (가정부 역), «비바, 파르퓸!» (어머니 역),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저승사자 역) 등.
빅토리야 소콜로바 (뱌조푸리하, 마티에, 마리)
2011년 모스크바 예술극장 연극 스튜디오 졸업.
2011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고독에 취해>,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세익스피어 <리차드 왕> 등.
뱌체슬라프 구기예프 (밀르이, 장교, 말무리)
셰프킨 연극 대학교 졸업.
2005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고양이 레오폴드의 생일>, <고독에 취해>, <돈 주앙>, , <미성년> 등.
막심 자우살린(밀르이, 장교, 세르푸호프스키 공작, 말무리)
2000년 국립 오를로프 예술 문화 대학교 졸업.
«베르나드스코보13»극장, «레투차야 므이쉬»극장, 모스크바 젊은 관객 극장(므튜즈)에서 활동.
2005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뮤지컬 작품:
2003년 - 뮤지컬 «12개의 의자»
2004년 - 뮤지컬 코메디 «흥겨운 친구들», 뮤지컬 «카르멘»
2006년 - 뮤지컬 «Oh, my friend!» (조르쥬 듀루아 역)
2009년 - 뮤지컬 <카바레>
2010년 -뮤지컬 <올리버>, <사랑과 배반>
2011년 -뮤지컬 <Sound of music> 등.
주요 작품: «코뿔소»,«비바, 파르퓸!», «감브리누스» (야샤 역), «모스크바 햄릿» (모노 연극), «눈먼 미녀», «가련한 리자» (에라스트 역), «돈 주앙» (돈 주앙 역), «우리 삶의 나날들»,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등.
바딤 쿠비친 (밀르이, 장교, 말무리)
2005년 간트 무용학교 졸업.
2006년 – 보리스 브루노프 무대예술 콩쿠르에서 수상.
2009년 – 러시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발레학과 졸업.
2005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외 유수 작품에서 발레 마이스터로 활동.
블라디슬라프 쿠비친 (밀르이, 장교, 말무리)
2005년 간트 무용학교 졸업.
2006년 – 보리스 브루노프 무대예술 콩쿠르에서 수상.
2009년 – 러시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발레학과 졸업.
2005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외 유수 작품에서 발레 마이스터로 활동.
러시아 연방 공훈 예술가 데니스 유첸코프(세르푸호프스코이 공작)
1993년 야로슬라블 연극대학교 졸업.
10년 간 울리야노프 드라마 극장에서 활약.
2003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레프 지모이>, <수전노>, <개들>, <마인 캄프. 파르스>, <두 명의 체호프>,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이상적인 남편>, , <고독에 취해> 등.
러시아 연방 공훈 예술가 유리 골로브초프 (페오판)
1994년 러시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졸업.
1989년 <가련한 리자>로 영국 에딘버러 페스티벌에서 < FRINGE FIRSTS > 수상.
1983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가련한 리자>(레오니드 역), <의사 체호프>, <감브리누스>, <이반 이바노비치와 이반 니키포비치가 싸운 이유>, <벚나무 밭>(야샤 역), <바냐 외삼촌>(쩰레긴 역), <우리 동네의 노래>, <검은 우유>, <산송장>, <눈 먼 미녀> 등.
영화 작품: «법과 질서», «지친 태양 2», «타티아나 절», «게임의 왕», «누가 집에서 주인인가?», «나의 아름다운 하녀» 등.
스타니슬라프 표도르추크 (페오판, 말 무리)
2002년 슈킨 연극대학교 졸업.
2002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가련한 리자>(에라스트 역), <의사 체호프>, <팡팡의 황금 튤립>, <수전노>, <크로커다일>, <코뿔소>, <산송장>, <미란돌리나> 등.
알렉산드르 루카쉬 (보브린스키 백작)
모스크바 예술극장 스튜디오 졸업.
1988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의사 체호프>, <벚나무 밭>, <팡팡의 황금튤립>, <마인 캄프. 파르스>, <크로커다일>, <눈 먼 미녀>, <Love bombing 혹은 스웨덴 가족> 등.
세르게이 스타프스키 (보브린스키 백작)
2000년 오를로프 국립 예술 대학교 졸업.
1998-2002년 오를로프 국립 드라마 극장 전속 배우로 활동.
2002-2003년 페테르부르크 드라마 극장 <코메디안>에서 활동.
2003-2010년 페테르부르크 <나 리테이놈> 극장에서 활동.
2010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의사 체호프>, <두 명의 체호프>, <코뿔소>, <눈보라> 등.
러시아 연방 공훈 예술가 안드레이 몰로트코프 (장군, 마부)
러시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졸업.
(연출가 아나톨리 예프로스로부터 지도받음)
1987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극장 연출 고문으로 활동하며, 2010년부터 본인의 작품을 연출하기도 함.
주요작품: <바냐 외삼촌>(아스트로프 역), <벚나무 밭>(로파힌 역), <류블리노의 마술사>,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의사 체호프>, <개들>, <두 명의 체호프>, <눈 먼 미녀>, <눈보라> 등.
러시아 연방 민중 예술가 발레리 셰이만 (장군)
러시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졸업.
1975-2006년 울리야노프스크 드라마 극장 전속 배우로 활동. 이 기간 중 85편의 연극 작품에 출연.
2002년 러시아 연방 연극제에서 수상.
1995-2003년 울리야노프스크 국립대학교 연기학과 강사.
2003-2006년 울리야노프스크 국립대학교 연기학과 교수.
2007년- 현재 러시아 연극대학교(IRT) 배우학과, 연출과 겸임교수.
2002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이상적인 남편> (로버트 칠튼 경 역), <마인 캄프. 파르스>, <게임의 끝> (함 역), <눈 먼 미녀>, <표식들>, <고독에 취해>, <나, 할머니, 일리코 그리고 일라리온> 등.
이반 마슈닌 (마부)
2006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졸업.
2006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산송장>, <자유로운 사람의 입장>, <펠리컨>, <눈 먼 미녀>,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마인 캄프, 파르스>, <돈 주앙>, <거짓에 빠져>, <눈보라>, <황제 막스 에일리언의 이야기> 등.
알렉산드르 체르냐프스키 (바시카, 마부, 말무리)
2003년 모스크바 셰프킨 연극대학교 수석 졸업.
2003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수전노>, <사르다나팔>,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크로커다일>, <나, 할머니, 일리코 그리고 일라리온>, <코뿔소>, <산송장>, <눈 먼 미녀>, <우리시대의 나날들>, <팡팡의 황금튤립> 등.
니콜라이 자보로트니 (바시카, 마부, 말무리)
2009년 슈킨 연극대학교 졸업.
2009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비바, 파르퓸!>, <팡팡의 황금튤립>, <눈보라>, <미성년>, <우리시대의 나날들> 등.
영화 출연: 니콜라이 도스탈 감독의 <파괴>.
데니스 사리이킨 (바시카, 마부, 말무리)
사라토프 국립 음악원 연극학과 졸업.
5년간 사라토프 청년극장에서 활동.
2005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코뿔소>, <검은 우유>,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비바, 파르퓸!>, <이상적인 남편>, <사르다나팔>, <산 송장>, <미란돌리나>, <이반 이바노비치와 이반 니키포비치는 어떻게 싸웠나> 등.
세르게이 베스코코프 (말무리)
2011년 슈킨 연극대학교 졸업.
2011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에리히 16세>, <사랑의 목적>, <미셸로프카> 등.
러시아 연방 공훈 예술가 올가 레베제바 (말 무리)
모스크바 셰프킨 연극대학교 졸업.
1989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2011년 러시아 연극 대학교(IRT) 배우학과 겸임교수.
주요 작품: <바냐 외삼촌>(소냐 역), <아가씨들에 관한 소설>, <의사 체호프>, <감브리누스>, <벚나무 밭>, <역병이 돌던 시기의 향연>, <개들>, <두 명의 체호프>, <수전노>, <크로커다일>, <코뿔소>, <눈 먼 미녀>, <돈 주앙> 등.
수상 경력:
1989년 에딘버러 페스티벌 최우수 프린지 수상. (<가련한 리자>의 리자 역)
1992년 <페테르부르크 안가제멘트> 최우수 배우상 후보.
이오네스코 국제 연극 페스티벌 최우수 여우주연상. (이오네스코 작
<수업>의 여교사 역)
얀나 프리잔코바 (말 무리)
2011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졸업.
2011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미란돌리나>(오르텐지야 역).
폴리나 사비나 (말 무리)
2003년 모스크바 볼쇼이 무용 아카데미 졸업.
2003-2004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발레학과에서 근무.
2005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비바! 파르퓸>(아가씨 역), <산송장>,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눈보라> 등.
올가 시라초바 (말 무리)
샤포린 음악 교육 대학교 졸업.
국립 연극예술원(GITIS) 발레학과 수학.
간트 무용학교 근무.
2005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비바! 파르퓸>, <아기돼지 세 마리>,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이반 이바노비치와 이반 니키포로비치는 어떻게 싸웠나> 등.
아나스타시아 파리키나 (말 무리)
러시아 연극대학교(IRT) 졸업.
2010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콜롬바>, <거짓에 빠져>, <학생들이여, 건강하시길!>, <눈보라> 등.
예카테리나 하테예바 (말 무리)
2010년 셰프킨 연극 대학교 졸업.
2010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팡팡의 황금튤립>(루이자 역), <비바! 파르퓸>,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두 명의 체호프>, <눈 먼 미녀>, <눈보라> 등.
알렉산드르 하샤바예프 (말 무리)
2005년 국립 연극 예술원(GITIS) 수석 졸업.
1998-2002년까지 모스크바 유수 극장에서 활동: 체호프 명칭 모스크바 예술극장 (<아마데우스>, <타리튀프>), 타바코프 극장(<웃음의 방>-1999년 황금마스크 축제 수상작), <빌록시 블루스>), 노기틴스크 극장 등.
2003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팡팡의 황금튤립>(팡팡 역), <로미오와 줄리엣>(로미오 역), <고양이 레오폴드의 생일>, <크로커다일>, <비바, 파르퓸>, <미란돌리나> 등.
다리야 셰르바코바 (말 무리)
2010년 슈킨 연극대학교 졸업.
2010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 작품: M.고리키 <태양의 아이들>, <가련한 리자> (리자 역), <고양이 레오폴드의 생일>, <미란돌리나> (미란돌리나 역), <우리 시대의 나날들> 등.
산드라 엘리아바 (말 무리)
2008년 모스크바 예술극장 스튜디오 졸업.
예술극장 학생 극장에서 활동: «카자크 사람들», «부채» 등.
2008년부터 동 극장에서 활동.
주요작품: <운전 수업>(크로슈카), <황제 막스 에밀리안의 이야기>, <비바, 파르퓸>, <나, 할머니, 일리코 그리고 일라리온> 등.